전체 글100 [Java] 2. 데이터 타입과 형변환 Data Type, 데이터 타입의 사전적인 정의를 말하자면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정수, 실수, 문자, 논리 등의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식별하는 분류'라고 볼 수 있다. 자바에서는 데이터 타입을 크게 '기본형'과 '참조형'으로 구분한다. 제일 먼저 기본형 데이터타입에 대해 알아보자. 기본형 Primitive Type 기본형 타입은 변수에 담는 데이터에 종류에 따라 각각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논리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① 정수형 - 정수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을 말한다. - 대표적인 정수형으로 'byte', 'short', 'integer', 'long'이 존재한다. - 여기서 크기란 변수 선언 시에 메모리에 할당되는 공간의 크기를 의미한다. int 변수를 선언하면.. 2022. 9. 21. [Java] 1. 변수와 상수 https://rclogstorage.tistory.com/m/6 C언어 2. 변수 수학에서 변수란 "값이 정해지지 않고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는 문자"를 의미한다. 프로그래밍에서도 이와 마찬가지로 변수는 특정한 값이 정해지지 않고, 대입을 통해서 값을 언제든지 바꿀 rclogstorage.tistory.com 일전에 C언어에서의 변수를 설명할 때 상세하게 설명한 적이 있었고 Java에서도 변수의 정의는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개요 없이 바로 변수의 정의 요약으로 넘어가겠다. 변수 Variable 특정한 값이 정해지지 않고 대입을 통해서 값을 언제든지 바꾸는 것이 가능함. 프로그램의 처리 과정에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하나의 변수에는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지만, 값의 변경이.. 2022. 9. 13. [Java] 0 - (1).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 앞에서 자바의 정의와 특징들을 설명할 때, 자바의 특징인 '객체지향 언어'라는 부분에 대해 설명하지 않고 넘어갔었다. 이번에는 객체 지향 언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해 정리해보겠다. 우선 내가 RPG 게임을 만드는 개발자라고 가정해보자. 캐릭터 하나를 만들어야 한다면, 해당 캐릭터의 직업과 스킬, 체력, 공격력 등의 여러 속성을 입력해줘야 한다. 이를 Java를 사용해서 코드를 만든다면 아래와 같이 만들 수 있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String 직업 = "전사"; String 스킬 = "내려치기"; int 체력 = 100; int 공격력 = 60; } } '전사' 캐릭터 하나를 만든다면 이렇게 만들 수 있다... 2022. 9. 13. [Java] 0. 자바 개요 [자바의 정의] 1995년 미국의 '썬 마이크로 시스템즈'에서 개발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썬 마이크로 시스템즈는 2010년 오라클 사에 인수되었고 현재 자바는 오라클 사에 의해 배포되고 있다.) 자바의 정의를 알았으니, 이제 자바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자바의 특징] ① 쉬운 난이도의 언어이다. ② 플랫폼에 독립적이다. ③ 자동으로 메모리를 정리해주는 기능이 존재한다. ④ 객체지향 언어이다. ① 쉬운 난이도의 언어이다. 자바는 기본적으로 'C'와 'C++'의 문법을 차용한 언어지만, 그들이 가진 어려운 문법인 포인터와 다중 상속을 제거함으로써 문법적인 난이도를 낮춘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② 플랫폼에 독립적이다. (1). C언어는 운영체제에 독립적이지 않다. Linux 운영체제에서 C로 개발한.. 2022. 8. 19. C언어 5. 자료형 & 서식지정자 0. 자료형 개요 https://rclogstorage.tistory.com/m/6 C언어 2. 변수 수학에서 변수란 "값이 정해지지 않고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는 문자"를 의미한다. 프로그래밍에서도 이와 마찬가지로 변수는 특정한 값이 정해지지 않고, 대입을 통해서 값을 언제든지 바꿀 rclogstorage.tistory.com 예전에 설명했던 변수 게시글에서 '변수 생성 방법 요약' 부분을 한번 살펴보자. 처음에 변수를 생성할 때, 가장 먼저 변수의 자료형을 정해줘야 한다고 설명했었다. 이번에 정리할 것은 '자료형'에 대한 이야기이다. 위의 코드에서 'int a;', 'int b = 40;' 부분을 한번 살펴보자. a와 b는 변수의 이름이다. 변수의 이름 앞에 붙는 것이 자료형으로 해당 변수 두 개는.. 2022. 8. 12. C언어 4. 연산자 이번에 공부한 것은 연산자이다. C언어에서 사용되는 연산자는 산술 연산을 수행하는 '산술 연산자', 크기 비교의 역할을 하는 '비교 연산자' 논리적인 연산을 수행하는 '논리 연산자'로 구분된다. ① 산술 연산자 - 사칙연산을 다루는 연산자, 기본적이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산자 -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는 이항 연산자로, 결합 방향은 '왼쪽→오른쪽'이다. a + b : a에 b를 더한다. a - b : a에 b를 뺀다. a * b : a와 b를 곱한다. a / b : a를 b로 나눈다. a % b : a와 b를 나눈 후 나머지를 구한다. 산술 연산자의 종류로 무엇이 있는 지를 확인했으니, 이제 이것을 참고해서 코드를 작성해보자. #include int main (void) { int a = 10; in.. 2022. 8. 6. C언어 3. 상수 앞에서 값을 언제든지 바꾸는 것이 가능한 '변수'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변수의 값을 고정해놔야 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코드를 쓰다 보면 중간에 실수로 변수의 값을 바꿔버려서 의도한 것과 다른 결과를 맞게 되고 긴 코드를 일일이 확인하면서 문제점을 찾는 것은 여간 번거로운 작업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 '상수'이다. ① 상수 Constant - 처음 정의했을 때 값을 무조건 입력해야 하고, 입력한 값을 바꿀 수 없다. - 상수 선언 시에는 자료형 앞에 'const'를 붙여서 선언한다. 상수의 정의와 상수를 선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았다. 하지만 정말로 상수 선언 후 값을 변경할 수 없는 것일까? 만약 중간에 값을 변경하면 어.. 2022. 8. 5. C언어 2. 변수 수학에서 변수란 "값이 정해지지 않고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는 문자"를 의미한다. 프로그래밍에서도 이와 마찬가지로 변수는 특정한 값이 정해지지 않고, 대입을 통해서 값을 언제든지 바꿀 수 있다. 변수 Variable 숫자, 문자와 같은 값들을 저장하는 공간 핸드폰 앱, 게임과 같은 모든 프로그램들은 수많은 변수들로 구성되어 있다. 변수의 정의에 대해선 알았지만 개념적으로 변수란 어떤 것인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변수라는 개념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 간단한 예시를 하나 들어보겠다. Paul이라는 사람이 한명 있고, 그 사람의 나이와 체중, 키와 같은 정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고 가정해보자. #include int main (void) { int age; int weight; int hei.. 2022. 7. 27. C언어 1. C언어 등장 배경 및 특징 ① C언어의 등장 배경 C언어는 기존 UNIX 운영체제를 보다 쉽게 개발하기 위해서 개발된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당시에 UNIX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던 프로그래밍 언어는 저급 언어(Low-Level Language)인 '어셈블리어' (Assembly Language)로 작성됐었습니다. 어셈블리어는 하드웨어, 특히 컴퓨터 CPU 구조에 변화가 생길 때마다 매번 다른 어셈블리어로 프로그램을 다시 작성해야 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보니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의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었고 그 결과, 1971년 벨 연구소의 데니스 리치를 통해서 C언어가 개발되었습니다. 이후 C언어가 등장한 이후, 기존에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대부분의 코드들은 C언어로 재작성됐습니다. ② C언어의 특징 C언어가 등장하게 된.. 2022. 7. 18. 이전 1 ··· 8 9 10 11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