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29

[Java] 함수, 메소드 1. 개요 저번 주에 클래스와 객체에 대한 글을 티스토리에 올리고 나서 주말에 김장을 하고, 핸드폰으로 내가 올렸던 글을 다시 읽다가 궁금증이 하나 생겼다. 메소드는 개념적으로도 구조적으로도 함수와 똑같은데 그러면 "이 둘의 차이가 무엇일까?" 라는 생각이었다. 일단 결론부터 말하자면 메소드는 클래스에 포함된 함수이다. 왜 이러한 결론에 도달했는 지를 말하기 전에 함수의 정의를 먼저 정리해보겠다. 2. 함수의 정의 ① 함수의 정의 - 하나의 특별한 목적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독립적으로 설계된 프로그램 코드의 집합 ②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 함수를 사용하면 반복적인 프로그래밍을 피할 수 있다. - 프로그램에서 특정한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한다면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함수를 작성하고 프로그램이 그 .. 2022. 11. 30.
[Java] 7. 클래스와 객체 (Part 2) 0. 개요 https://rclogstorage.tistory.com/23 [Java] 7. 클래스와 객체 (Part 1) 0. 개요 우리가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변수에 여러 값을 담아야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변수에는 값을 하나만 담을 수 밖에 없으며, 변수와 값의 자료형이 다르면 값을 담을 수 없다. 그래서 고 rclogstorage.tistory.com '클래스와 객체' Part 1에서 객체의 정의와 클래스의 정의 및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했었으니 이번에는 그때 정리했던 내용을 다시 복습한다는 느낌으로 예제 문제를 하나 만들고 이에 대한 설명을 하는 것 위주로 할 것이다. 예제로 제시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예제 문제 //조건: 자동차 객체를 만드시오. public class Main { p.. 2022. 11. 21.
[Java] 7. 클래스와 객체 (Part 1) 0. 개요 우리가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변수에 여러 값을 담아야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변수에는 값을 하나만 담을 수 밖에 없으며, 변수와 값의 자료형이 다르면 값을 담을 수 없다. 그래서 고안된 것이 '객체 (Object)'이다. 객체에는 정수, 실수, 논리형 등의 각기 다른 값들을 담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객체를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클래스 (Class)'이다. https://rclogstorage.tistory.com/14 [Java] 0 - (1).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 앞에서 자바의 정의와 특징들을 설명할 때, 자바의 특징인 '객체지향 언어'라는 부분에 대해 설명하지 않고 넘어갔었다. 이번에는 객체 지향 언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해 정리해보겠다. rclogstora.. 2022. 10. 28.
[Java] 6. 배열 (Part 2) 0. 개요 https://rclogstorage.tistory.com/m/21 [Java] 6. 배열 (Part 1) 1. 개요 변수에서 반복문까지 설명하면서 변수를 여러 개를 선언한 경우는 많이 없었고 많이 선언해봤자 2~3개 정도였었다. 하지만 실제로 프로그램을 만들면 변수 선언을 할 일이 아주 많을 것 rclogstorage.tistory.com 앞에서 배열의 정의와 생성 방법, 예제 문제 몇 가지를 통해서 배열의 기초에 대해 설명했었다. 이번에는 제시된 배열 문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풀어보고, 이를 해설하는 과정을 위주로 설명하겠다. 1. 문제 //배열 문제 //조건 1: 'arr1'에 [true, true, false] 저장 //조건 2: 'arr2'에 [3.14, 5.55, 10.0] 저장 //.. 2022. 10. 19.
[Java] 6. 배열 (Part 1) 1. 개요 변수에서 반복문까지 설명하면서 변수를 여러 개를 선언한 경우는 많이 없었고 많이 선언해봤자 2~3개 정도였었다. 하지만 실제로 프로그램을 만들면 변수 선언을 할 일이 아주 많을 것이다. 이번에 정리한 것은 하나의 변수 이름으로 여러 개의 변수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인 '배열'에 대한 것을 정리해봤다. 2. 배열의 정의 ① 배열 Array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배열은 "하나의 변수 이름으로 여러 개의 변수를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방법"이다. 이를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변수 혹은 상수의 모음"으로 볼 수 있으며 기술적인 정의를 내리자면 "같은 데이터 타입을 가진 연속된 메모리 공간으로 이루어진 자료 구조"를 말한다. 배열의 정의를 알았으니 이제 프로그래밍에서 배열을 어떻게 선언하는 지를 확인해.. 2022. 10. 19.
[Java] 5. 반복문 1. 개요 이번에 설명할 것은 앞에서 설명한 조건문과 같이 제어문 중 하나인 '반복문'에 대해서다. 반복문의 사전적인 정의를 내보자면 "프로그램 내부에서 특정한 코드가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명령문"이라 할 수 있다. 우리가 간단한 계산기 프로그램을 만든다고 해보자. 우선 숫자를 입력하고 그 숫자로 사칙연산을 하는 등의 여러 가지 연산을 할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프로그램 소스코드에 반복문이 들어가지 않는다면 해당 프로그램은 계산을 한 번만 하고, 다시 하려면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다시 실행시켜야 할 것이다. 하지만 반대로 반복문이 소스코드 안에 들어간다면 계산을 한번 하고 프로그램을 재실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반복문이 있으면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특정 코드, 계산을 담당하는 부분이 반.. 2022. 10. 11.